길어져 가고있는 코로나 19사태로 인해 심신이 지친 국민과 의료진의 피로감 회복과 내수 활성화를 위해 토요일인 광복절 대체휴일을 검토중이라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광복절 대체휴일은 주말이 끝난 다음날 월요일인 8월17일을 하루 더 쉴 수 있는 임시공휴일로 지정이 되게됩니다.
대체휴일은 내년 일정 수준 이상의 공휴일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설날이나 추석연휴가 다른 공휴일과 겹치거나 어린이날이 토요일 또는 다른 공휴일에 겹칠 경우 그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을 공휴일로 지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대체휴일은 설날, 추석, 어린이날에만 해당이 되었던 제도로 광복절은 대체휴일에 해당되지 않았었지만, 국민피로감 해소를 위해 정부에서 검토하겠다고 발표한 것입니다.
무조건 빨간날, 광복절 대체휴일과 임시공휴일을 바라기 보다는 광복절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그 의미를 가슴 속에 새겨보는 시간도 갖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광복절의 정의
광복절,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 된 것을 기념하고, 1948년 8월 15일 임시정부 법통을 계승한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날입니다.
1949년 10월 1일 제정된「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거, 광복절이 국경일로 제정되었다. 이 날은 경축행사를 전국적으로 거행하는데 중앙경축식은 서울에서, 지방경축행사는 각 시·도 단위별로 거행합니다. 이 날의 의의를 고양하고자 전국의 모든 가정은 국기를 달아 경축하며, 정부는 이 날 저녁에 각계각층의 인사와 외교사절을 초청하여 경축연회를 베풉니다. 광복회원을 위한 우대조치의 하나로, 광복회원 및 동반가족에 대하여 전국의 철도·시내버스 및 수도권전철의 무임승차와 고궁 및 공원에 무료입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광복절은 경축을 표하는 날이기 때문의 태극기는 최대한 높이 달아줍니다.
숫자로 되새겨보는 광복절 "1"
1945년 8월 15일 낮 12시, 히로히토 일왕의 항복 선언이 라디오 전파를 타고 흘러나옵니다.
하지만 시민들이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 만세"를 외친 날은 하루 뒤인 8월 16일이었습니다. 광복절 당일의 거리는 생각보다 조용했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당시 집에 라디오를 갖고 있던 사람은 드물었죠.때문에 서울 시민 대부분은 일제의 항복 사실을 몰랐습니다. 광복 하루 뒤, 형무소에 갇혀 있던 독립운동가들이 풀려나자 시민들은 그제야 광복을 맞이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후 마음껏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해방의 기쁨을 누렸습니다.
"나라를 찾은 기쁨으로 태극기가 온 거리를 뒤덮은 날은, 광복절 하루 뒤였다"
2020년 8월 15일 제75주년 광복절
선열들의 희생과 헌신으로 오늘을 맞이할 수 있음을 잊지 않고, 광복의 역사 속 우리 민족의 애환을 함께했던 태극기를 기억하겠습니다.





일제로부터 우리나라를 되찾기까지 걸린 기간, 햇수로 36년






경복국 앞을 차지하던 일제의 잔재 조선총독부 건물은 1995년 8월 15일 철거되기 사작했다.






2019년 8월 15일 광복절 기준 독립운동 공적 포상자는 15,689명입니다.






일본군이 항복문서에 서명한 날인 9월 2일 입니다.







